[에브리뉴스=이문경 기자]20~40대 미혼 직장인 여성 60%는 결혼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2018년 저출산 정책에 대한 2040 여성 근로자 인식(516명 응답)’을 조사한 결과, ‘결혼하지 않을 것’이 26.3%, ‘모르겠다’가 34.3%였다. ‘결혼할 것’이라는 응답은 39.4%에 그쳤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혼계획이 없거나 잘 모르겠는 이유에 대해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46.3%)가 가장 많았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20.6%), ‘일‧생활 균형이 어려운 사회‧근로환경 때문’(11.4%) 순으로 답했다.
여성근로자의 이상적 자녀수는 ‘2명’(63.2%)이 가장 많았고, ‘3명’(16.0%), ‘1명’(13.6%) 순이었다. 그러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는 평균 1.2명이어다. ‘1명’(47.9%), ‘2명’(33.9%) 등이다.
낳고 싶은 자녀수보다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가 적은 것은 경제적 이유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여성들은 ‘소득 및 고용 불안’(30.6%), ‘사교육비 부담’(22.3%) 등을 저출산 원인으로 꼽았다.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 중 출산휴가 외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35.8%였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들의 평균 휴직기간은 8.9개월이었다.
기업규모별로는 300인 이상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은 50.0%가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반면 50∼299명 기업에서는 38.5%,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28.9%의 여성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고 응답했다.
육아휴직 사용 기간도 300인 이상 기업의 직장인 여성은 평균 11.8개월, 50∼299인 기업은 10.2개월,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5.8개월이었다.
자녀 양육은 부모에게 도움을 받는 경우(40.6%)가 가장 많았다. 이어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이용’(23.6%), ‘본인 스스로 양육’(21.2%) 등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자녀가 어릴수록 부모의 의존도가 높았다. 20대 여성근로자에서는 부모의 도움을 받는 응답자가 절반이 넘었고(55.6%), 30대는 42.7%, 40대는 37.1%로 감소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일‧생활의 균형과 조직 문화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부 저출산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80.0%)를 1순위로 선택했다.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출산‧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 개선’(42.3%), ‘유연근무제, 임산부 단축근무제 등 시행’(25.2%) 등을 들었다.
추광호 한경연 실장은 “여성 근로자들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소득과 고용 불안을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볼 때 정부는 기업이 더 많은 여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