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뉴스=최신형 기자] ‘근면·자조·협동을 바탕으로 생활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한 범국민적인 사회운동.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당시 대통령이 지방장관회의에서 “우리 스스로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가자”라고 역설한 데서 시작. 이후 ▲마을진입로 ▲소하천·소유지 정비 ▲퇴비장 설치▲근검운동 ▲소득사업 ▲국민교육 ▲안보교육 등으로 승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업적인 ‘새마을운동’ 얘기다.
새마을운동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일 전남 순천에서 열린 ‘2013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에 참석해 제2의 새마을운동 추진을 역설하면서부터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새마을운동과 관련, “ 국민통합을 이끄는 공동체 운동”, “미래지향적인 시민의식 개혁 운동”, “제2의 한강의 기적” 등으로 표현하며 새마을운동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박 대통령은 새마을운동을 “현대사를 바꿔놓은 정신혁명”으로 규정지은 뒤 박 전 대통령의 1세대 새마을 운동이 ‘근면·자조·협동’을 통한 절대빈곤 탈출에 목표를 뒀다면, 제2의 새마을운동은 ‘나눔·봉사·배려’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 운동이라고 말했다.
대통령 후보 시절 슬로건으로 내건 ‘100% 대한민국-국민대통합’ 취지에 걸맞게 제2의 새마을운동을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세대 ▲지역 ▲계층 ▲이념 간 갈등의 골을 메워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는 안전행정부의 새마을운동 지구촌 전파 움직임과 맞물려 제2의 정신혁명 운동이 박근혜 정부의 하반기 정국운영의 기본적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안행부는 이명박 정부 2년 차 때인 지난 2009년부터 새마을운동의 국외사업을 주도했다. 그 결과 미얀마와 6년간 244억 원 지원을 핵심으로 하는 새마을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새마을운동 관련 MOU 체결의 첫 사례다.
이밖에 안행부는 라오스·네팔·베트남·캄보디아 등 아시아 국가와 르완다·우간다·모잠비크 등 아프리카 국가를 협력국으로 정하고 새마을운동을 범세계적 운동으로 확산한다는 전략이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22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글로벌 전자정부 포럼에서 참석, 새마을 운동과 관련해 “한국형 개발모델의 수출에 박차를 가해 ‘행정 한류’를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새마을운동 등 한국형 개발모델이 개발도상국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유신시절, 새마을운동 경제개발에 도움…2013년 체제에도 유효한가
새마을운동의 기원은 19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박 전 대통령은 그해 4월 22일 지방장관회의에서 “우리 스스로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립을 불러일으켜 땀 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이 멀지 않아 잘살고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이 바꿔지리라고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이것이 새마을운동의 시발점으로 알려져 있다.
이듬해 박정희 정권은 41억 원을 지원, 마을진입로·소하천·소유지의 정비·퇴비장 설치·마을식수 등 ‘10대 가꾸기 예시사업’을 중점 추진했고, 3년 뒤인 1974년엔 새마을소득·새마을교육·도시새마을운동 등 3대 역점시책에 308억 원을 지원했다. 이 해가 새마을운동의 저변이 확대된 시기다.
1975년도에 들어 새마을운동은 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발전한다. 민간단체인 ‘새마을운동협의회’가 구성된 것이다. 이 시기에 마을 3만4665곳, 직장 5천402곳, 학교 2천234 곳 등이 새마을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대통령은 1975년 10월 5일 시정연설에서 새마을운동과 관련, “정신혁명의 운동이요 잘 살기운동이요 내 고장 내 나라를 내 힘으로 지키겠다는 총력안보 운동”이라고 말했다. 마을운동이 경제와 안보운동으로 승화한 셈이다.
1977∼79년은 새마을운동이 절정기를 맞은 시기다. 77년엔 문화복지농촌건설의 촉진과 소득증대운동의 지속화, 78년엔 물량적 근대화와 정신적 근대화, 79년에는 소비절약운동 등으로 확장, 새마을운동을 경제부흥에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신정권 시절 새마을운동은 70년대의 ‘수출 부흥과 높은 경제성장률’과 맞물려 국민들의 적잖은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정통성이 약했던 유신정권이 새마을운동을 독재 정당화에 이용했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정부차원의 계도주의 철학에 기반한 새마을운동이 다원주의 시대인 2013년 체제에 부합하는지를 놓고 논쟁이 불붙은 이유다. 새마을운동은 자율성이 배제된 관 주도 운동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이에 추선희 <대한민국어버이연합회>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와 통화에서 박 대통령의 제2 새마을운동 추진과 관련해 “(유신시대) 새마을운동을 하자는 게 아니고 새로운 정신 개혁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경제와 안보를 살리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이 유신 부활 비판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선 “소통이 안 되는 사람들”이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진보진영 관계자는 “지금 시대에 그것이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선 의문”이라며 “공동체 복원 등의 문제제기에는 공감하나, 그 답이 제2의 새마을운동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공방도 확산되고 있다. “새마을 정신을 10월 유신에 연결시키는 것은 난독증에 따른 것이거나 아니면 심각한 논리비약이다.(박재갑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 VS “국민들은 새마을운동을 또 다른 10월 유신이자 과거 회귀로 볼 뿐이며 제2의 한강 기적, 창조경제는 70년대보다 더한 국민 양극화일 뿐이다.(배재정 민주당 대변인)”
< 저작권자 © 에브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기사제보 : 편집국(02-786-6666),everynews@everynews.co.kr >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