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 기자]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8월의 독립운동가로 대한제국 시기 주러시아 공사로서 을사늑약에 항거하고 헤이그특사를 후원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다 경술국치 후 자결 순국한 이범진 선생을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보훈처에 따르면 이범준 선생은 대한제국 시기 정치가이자 외교관이다. 1879년 문과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1887년 협판내무부사가 됐고, 1896년 주미공사가 됐으며, 1899년 주러시아공사로 전임돼 오스트리아.프랑스까지 3개국 공사를 겸임했다.
이 선생은 주러시아공사 시절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租借) 요구에 강경하게 반대하고 이 공문을 러시아정부에 전달하지 않아 파면되기도 하는 등 기울어져 가던 대한제국의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구국외교에 헌신했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 늑결로 외교권이 박탈되고 각국 주재 한국공사들을 소환하자 이 선생은 이에 불응하고 러시아 수도 페테르스부르크에 체류하면서 국권회복을 위해 노력했다.
1907년 6월 네덜란드 수도 헤이그에서 제2회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될 때 대한제국 특사 파견과 활동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선생은 이상설과 이준이 페테르스부르크에 도착하자 그들과 협의해 평화회의에 제출할 문서를 작성하고, 또 아들 이위종을 사행의 일원 겸 통역으로 동반케 했으며 특사들이 헤이그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에게 보호를 요청했다.
그는 또 각국 기자들을 모아놓고 한국 특사들이 연설할 기회를 마련하는 등 헤이그특사의 활동을 위해 모든 지원을 다했다.
1908년 4월 연해주에서 최재형, 이범윤 등이 의병단체인 동의회를 편성할 때 아들 이위종을 파견해 군자금 1만루불을 제공하는 등 일제의 침략에 적극적인 저항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1910년 페테르스부르크에서 경술국치 소식을 들은 선생은 유산을 미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자금으로 제공하고, 1911년 1월 조국을 병탄한 일제에 항거해 이역만리 페테르스부르크에서 권총으로 자결, 순국했다.
정부는 이 선생의 공로를 기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에브리뉴스 Every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에브리뉴스 EveryNews에서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받습니다.
이메일: everynews@kakao.com